사주단자 혼서지 작성요령
◈.사주단자
신랑 신부 양가가 정혼定婚을 하면 신랑 집에서는 신부 집으로 혼인 날짜를 잡아달라는 뜻으로 신랑의 사주四柱인 생년 0월 0일 0시의 네 간지干支 :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의 10간과,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의 12지를 적어서 보내는데, 이를 흔히 ‘사성四星 보낸다’, ‘단자單子보낸다’라고 말한다. 즉 신랑의 사주를 적은 종이를 사주단자四柱單子라 하는 것이다.
이를 기재하는 방식은 지역이나 가풍 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정해진 규칙을 찾기보다는 집안 전통에 따르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사주단자의 규격은 가로 30~40cm, 세로 25cm 정도가 적당하며, 좌우 양 끝에서부터 안쪽으로 모이도록 7번 또는 5번 접어서 그 복판에 신랑의 사주인 생년?월?일?시를 적고 다시 한 번 백지에 싼다. 봉투 앞면에는 사주 혹은 사성이라 쓰고 그 봉투는 봉하지 않는다. 그리고 수숫대나 싸릿대의 끝부분이 갈라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가운데 부분만을 쪼개 그 속에 봉투를 끼우고, 양쪽 끝을 청실, 홍실로 감으며 매듭은 동심결로 맺는다. 이때 수숫대나 싸릿대 대신 대나무를 사용하는 지방이 있는가 하면, 아예 끼우지 않는 지방도 있다. 사주단자를 싸릿대 등에 끼우게 된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옛날에는 가방이 없고 손수 보자기에 싸
서 들고 가야 하는데, 혹 구겨질 염려가 있어 그랬다는 말도 있고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잘 휘어지는 싸릿대처럼 앞으로 말 잘 들으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이야기도 일부 지방에서 전해오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청홍색 보자기를 두를 때는 신랑을 의미하는 홍색이 밖으로 가도록 싼다. 한편 사주를 보낼 때는 보내는 이의 정성을 담은 사주 보내는 편지, 즉 납채문納采文도 함께 보내는데 대략 편지의 규격은 가로 60cm 세로 40cm 정도.
사주 편지 예시 새 봄을 맞이하여 댁내 모두 평안하신지요. 그간 인사 여쭙지 못하여 송구스럽습니다. 저의 아들 혼사에 이미 허락하심을 주시었으니 이는 저희 가문에 영광이 아닐 수 없습니다. 사주단자를 적어 보내오니 연길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부족하오나 너그러운 마음으로 양해하여 주시기 바라면서 삼가 이 글을 올립니다. 00년 0월 0일 000 드림
사주와 사주 편지는 한복숍을 통해 마련할 수 있으며, 좀더 격식 있는 혼인 서식지를 작성하고자 한다면 곰달래서예 www.honseoji.com 등 전문 서예가에게 직접 의뢰할 수도 있다. 인터넷을 통해서도 상담할 수 있으며 전통 한지에 붓글씨로 직접 작성한 사주, 사주 편지, 한문 혼서지, 국한 혼용서지 등은 2만~4만5천원 정도.
◈.자기 본관 알아보기
가 | |||||||
경(京) | |||||||
교(橋) | |||||||
구(邱) | 국(菊) | ||||||
근(斤) | 기(箕) |
난(欒) | |||||||
뇌(賴) | 누(樓) |
담(譚) | |||||||
도(陶) | 돈(敦) | 돈(頓) | 두(頭) |
묘(苗) |
성(星) | |||||||
순(順) | |||||||
십 |
운(芸) | |||||||
저(邸) | |||||||
전(傳) | 제(齊) | ||||||
초(初) | 춘(椿) |
학 | |||||||
호(鎬) | 환(桓) | ||||||
후(候) | 후(后) | 흥(興) | |||||
강전 | 망절 | ||||||
소봉 | 장곡 |
|
|
|
|
◈.사주단자, 혼서지란 ?
▶사주단자, 혼서지
이게 바로 그건데.. 아는 것 같기도 하고 모르는 것 같기도 하고..
사주단자, 혼서지
들어보긴 했는데 정확하게 뭔지 알고 계세요?
▶사주단자란?
혼인을 정하고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신랑이 출생한 연, 월, 일, 시의 사주를 적어서 보내는 간지입니다.
사주단자를 받은 신부집에서는 신랑집의 사정을 고려하여 알맞고 좋은날, 곧 길일을 가리어 혼인날짜를 잡습니다. 이것을 연길(涓吉) 또는 택일(擇日)이라 하며, 이 날짜를 신랑집에 통고하는 서신을 보냈습니다.
사주단자에는 이런 것을 쓰게 됩니다.
1. 신랑의 생년월일시(음력)
2. 신랑측 혼주의 성명과 본관(한자)
3. 신부측 혼주의 성씨(한자)
4. 사성(사주단자) 보내는 날짜(음력)
▶혼서지는 뭔가요?
혼인때 신랑집에서 예단에 붙여 함과 함께 신부집으로 보내는 편지입니다.
혼서지에는 이런 내용이 들어갑니다.
1. 신랑의 성명(한자)
2. 신랑측 혼주의 성명과 본관(한자) * 아버지 작고시에는 어머니 성명(한자)도 기재
3. 신랑과 혼주의 관계(장남, 차남, 3남, 동생, 조카 등에서 선택)
4. 신부측 혼주의 성씨(한자) * 아버지 작고시에는 어머니 성씨(한자)도 기재
5. 신부와 혼주의 관계(장녀, 차녀, 3녀, 동생, 질녀 등에서 선택)
6. 혼서지 보내는 날짜(음력)
▶요즘 추세는....
예전에는 사주단자나 혼서지 등을 모두 직접 써서 주고받곤 했지요.
요즘에는 이것도 매우 간소해 지고 편리해 졌답니다.
한복집에 필요한 정보를 알려주면 사주단자나 혼서지 등을 써서 격식을 갖춘 봉투에 넣어 알맞게 준비해 준답니다.
대필해 주는 곳들도 있고요.
◈사주/혼서지를 대필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
아래 표는 맨아래 한글로 저장되어 있으니 필요하시면 다운받아 쓰세요.
신랑성함 | 한글: 한자: |
신랑본관 | 예)경주김씨,밀양박씨 |
신랑아버님성함 | 한글: 한자: |
신랑서열(형제지간) | 예)2남1년중 차남 |
신랑사주(생년월일시) | 음력: 년, 월, 일, 시(예:자시23~01시)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